절기는 태양년을 태양의 황경에 따라 24 등분한 기후의 표준점입니다. 황경이란 춘분에 지나는 점을 기점으로 하여 황도에 따라 움직인 각도를 말하며, 황경이 0도일 때를 춘분으로 하며, 15도마다 새로운 절기로 구분합니다. 경칩, 우수, 춘분은 24 절기 중 하나라고 생각하면 된다.
24절기 표
음력월 | 절기 | 양력일자 | 황경 |
1월 (孟春月) | 입춘(立 春) | 2월 4일경 | 315° |
우수(雨 水) | 2월 19일경 | 330° | |
2월 (仲春月) | 경칩(驚 蟄) | 3월 6일경 | 345° |
춘분(春 分) | 3월 21일경 | 0° | |
3월 (季春月) | 청명(淸 明) | 4월 5일경 | 15° |
곡우(穀 雨) | 4월 20일경 | 30° | |
4월 (孟夏月) | 입하(立 夏) | 5월 6일경 | 45° |
소만(小 滿) | 5월 21일경 | 60° | |
5월 (仲夏月) | 망종(芒 種) | 6월 6일경 | 75° |
하지(夏 至) | 6월 21일경 | 90° | |
6월 (季夏月) | 소서(小 暑) | 7월 7일경 | 105° |
대서(大 暑) | 7월 23일경 | 120° | |
7월 (孟秋月) | 입추(立 秋) | 8월 8일경 | 135° |
처서(處 暑) | 8월 23일경 | 150° | |
8월 (仲秋月) | 백로(白 露) | 9월 8일경 | 165° |
추분(秋 分) | 9월 23일경 | 180° | |
9월 (季秋月) | 한로(寒 露) | 10월 8일경 | 195° |
상강(霜 降) | 10월 23일경 | 210° | |
10월 (孟冬月) | 입동(立 冬) | 11월 7일경 | 225° |
소설(小 雪) | 11월 22일경 | 240° | |
11월 (仲冬月) | 대설(大 雪) | 12월 7일경 | 255° |
동지(冬 至) | 12월 22일경 | 270° | |
12월 (季冬月) | 소한(小 寒) | 1월 6일경 | 285° |
대한(大 寒) | 1월 21일경 | 300° |
24절기는 계절을 세분한 것으로, 대략 15일 간격으로 나타낸 달력이라고 말한다. 계절은 태양의 하늘 위치, 즉 황도 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황경에 따라 변동하기 때문에 24 절기의 날짜는 해마다 양력으로는 거의 같게 되지만 음력으로는 조금씩 달라진다.
경칩이란?
표에 따라 경칩은 24 절기 중 세 번째 절기, 계칩이라고도 한다. 태양의 황경이 345도에 이르는 때로 양력 3월 6일 경이다.
놀랄 경, 숨을 칩자를 사용해 뜻을 풀어보면 겨울잠을 자는 벌레, 개구리들이 따뜻한 날씨로 인해 놀라서 깨다. 경칩의 유래를 보면 식물들이 잎을 피기 시작하거나 개구리가 겨울잠을 깨어나는 시기라 불렸다. 당시에 겨울이 지나고 새해 농사를 시작하는 중요한 시기로 한 해 농사를 미리 점쳐보는 일이 많았다고 한다. 또한 몸이 건강해지기를 바라면서 개구리 또는 도롱뇽 알을 건져 먹었다고 한다. 고로쇠나무를 베어 그 수액을 마시는데, 보통의 나무들은 2월 중순에 물이 오르지만 남부지방의 나무는 다소 일찍 물이 오르므로 첫 수액을 통해 한 해의 기운을 받고자 한 것이다. 경칩이 지나서는 수액이 잘 나오지 않으며, 나오더라도 그 수액은 약효가 적다. 경칩은 만물이 약동하는 시기로, 움츠러 지냈던 겨울이 끝나고 새로운 생명이 소생하는 절기이다.
우수란?
입춘 입기일 15일 후인 2월 19일경 태양의 환경이 330도의 위치에 올 때를 말한다. 날씨가 풀리고 봄바람이 불기 시작하며 새싹이 난다고들 말한다. 음력으로는 대개 정월에 들며 우수라는 말은 비 우, 물 수자를 사용하며 눈이 녹아서 비가 된다는 말이니 이제 추운 겨울이 지나고 봄을 맞게 된다는 뜻이 있다.
춘분이란?
24 절기 중 네 번째 절기. 춘분은 양력으로 3월 21일경으로 태양이 남쪽에서 북쪽으로 향하여 적도를 통과하는 점 곧 황도와 적도가 교차하는 점인 춘분점에 이르렀을 때 춘분이라 한다. 이날은 음양이 서로 반인만큼 낮과 밤의 길이가 같고 추위와 더위가 같다. 이 절기를 전후로 농가에서는 봄보리를 갈고 춘경을 하며 담도 고치고 돌나물을 캐 먹었다고 한다. 봄 춘, 나눌 분자를 사용하며 나누는 봄이라는 뜻으로, 남녀가 정을 나눔이라는 뜻을 의미합니다. 조선시대에는 춘분이 되면 얼음을 보관하는 창고에서 얼음을 꺼내기 전 신에게 제사를 지냈습니다. 또한 농가에서는 한 해 농사를 점치기 위해 춘분에 비가 오면 아픈 사람이 없다고 점을 치고, 구름이 없으면 만물이 제대로 자라지 못하고 역병이 돈다 생각했습니다.
댓글